Differences
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
Link to this comparison view

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
Next revision
Previous revision
domain-driven_design:part_4_strategic_design:15_distillation [2024/07/22 14:33] – [심층 모델의 디스틸레이션] ledyxdomain-driven_design:part_4_strategic_design:15_distillation [2024/07/29 11:27] (current) – [ABSTRACT CORE] 링크 오류 수정 ledyx
Line 1: Line 1:
 = 15 디스틸레이션 = = 15 디스틸레이션 =
  
-폭넓은 일련의 모델을 구분하고 도메인 모델의 정수를 추출하는 방법+폭넓은 일련의 모델을 구분하고 도메인 모델의 정수인 **CORE DOMAIN**을 추출하는 방법
  
 {{tag>Domain-Driven_Design  Modeling Design}} {{tag>Domain-Driven_Design  Modeling Design}}
Line 410: Line 410:
 ABSTRACT CORE를 모델링하려면 ABSTRACT CORE를 모델링하려면
 핵심 개념과 해당 개념이 시스템의 주요 **상호작용**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심층적으로 이해해야 한다. 핵심 개념과 해당 개념이 시스템의 주요 **상호작용**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심층적으로 이해해야 한다.
-다시 말해, 이것은 [[part_3_refactoring_toward_deeper_insight:13_refactoring_toward_deeper_insight|더 심층적인 통찰력을 향한 리팩터링]]의 한 사례에 해당한다.+다시 말해, 이것은 [[domain-driven_design:part_3_refactoring_toward_deeper_insight:13_refactoring_toward_deeper_insight|더 심층적인 통찰력을 향한 리팩터링]]의 한 사례에 해당한다.
 그리고 __대개 여기에는 상당한 양의 재설계가 필요하다.__ 그리고 __대개 여기에는 상당한 양의 재설계가 필요하다.__
  
Line 428: Line 428:
 == 리팩터링의대상 선택  == == 리팩터링의대상 선택  ==
  
 +CORE DOMAIN 분리에 집중.
 +
 +  - 고통 주도적(pain-driven) 리팩터링에서는 \\ 문제의 근원에 CORE DOMAIN이나, CORE와 지원 요소와의 관계가 관련돼 있는지 살핀다. \\ 만약 그렇다면, 이를 악물고 그 부분을 가장 먼저 고쳐야 한다.
 +  - 마음껏 리팩터링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\\ 제일 먼저 CORE DOMAIN을 더 잘 분해하고, CORE의 격리를 개선하며, 보조적인 하위 도메인이 GENERIC하게 만드는 데 집중한다.
  
domain-driven_design/part_4_strategic_design/15_distillation.1721655228.txt.gz · Last modified: 2024/07/22 14:33 by ledyx